top of page

'코로나19 입원환자 3분의1은 뇌질환…퇴원 후 일상 차질'

  • 작성자 사진: senior6040
    senior6040
  • 2020년 10월 6일
  • 1분 분량

<미주중앙일보>[연합뉴스]기사입력 2020/10/05


미국 연구결과…뇌질환 오면 사망률 7배 상승 집중력 저하·단기기억 상실·혼수상태 등 목격 "뇌질환 겪으면 68%가 요리·계산 등에 어려움"


ree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미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중 3분의 1에서 뇌질환이 나타났으며, 사망에 이를 확률도 뇌질환이 없는 환자의 7배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시카고에 있는 노스웨스턴 메디슨 병원의 연구진은 3월 5일∼4월 6일 코로나 입원 환자 509명 중 거의 3분의 1에서 정신 착란, 혼동, 무반응 같은 뇌질환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뇌질환을 겪는 코로나 환자들의 입원 기간은 대조군(뇌질환 없는 코로나 환자들)의 3배에 달했다. 퇴원한 뒤에도 요리, 돈 계산 같은 일상생활이 가능한 비율이 뇌질환 그룹에서는 32%, 대조군에서는 89%로 나타났다. 특히 뇌질환 그룹이 사망에 이를 확률은 대조군의 7배에 달했다. 여기에서 말하는 질환이란 뇌와 관련한 정신적 질환을 총칭한다. 주의력 및 집중력 장애, 단기 기억 상실, 혼미, 혼수상태 등이 포함된다. 연구진은 "뇌질환은 퇴원 후 일상을 돌보는 능력과 관련해 최악의 의료적 결과로 연결된다"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에서 이같이 뇌질환이 나타나는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는 '임상·중개 신경학 연보'에 실렸다. 기존 연구에서도 코로나 바이러스가 뇌세포를 직접 공격한다는 증거는 거의 나오지 않았다. 다만 염증 및 면역체계 반응에 따라 뇌를 포함한 장기들이 손상되면서 신경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newglass@yna.co.kr 신유리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