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청정' 日 이와테현에도 첫 확진자...원인은 '고 투 트래블'이었다
- senior6040
- 2020년 7월 30일
- 2분 분량
[한국 중앙일보]기사입력 2020/07/29
29일 일본 하루 코로나19 확진자 1259명으로 역대 최다 30일 도쿄서 367명 등 지역마다 최다기록 경신 이어져 이와테현 첫 확진자, 간토 지방에서 친구와 캠핑 후 감염 정부, "젊은 층 많아 괜찮다"며 긴급사태 선포 고려 안해
일본에서 29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1259명 나왔다. 4월 1차 확산기에도 없었던 하루 역대 최다 감염자수다. 일본 47개 도도부현(都道府?) 중 유일하게 코로나 환자가 나오지 않아 '코로나 청정지역'으로 불렸던 이와테(岩手)현에서도 이날 처음으로 2명의 감염자가 확인됐다. 원인은 '고 투 트래블(Go To Travel)'이었다.

30일 아사히 신문에 따르면 이와테현에서 29일 처음 확인된 감염자는 모리오카시의 40대 남성과 미야코시의 30대 남성이다. 이 중 모리오카시 남성은 일본 정부의 여행장려 캠페인인 '고 투 트래블'이 시작된 지난 22일 간토 지방 캠프장에 가, 23~26일 친구 3명과 같은 텐트에 숙박했다. 28일 친구 중 한명이 양성으로 판명되면서 밀접접촉자로 분류돼 검사를 받고 양성판정을 받았다. 남성은 가벼운 기침 외에 특별한 증상이 없어 27일부터 회사에 출근 중이어서 감염자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닷소 다쿠야(達?拓也) 이와테현 지사는 "우리 현만 예외일 수는 없다. 누구나 (코로나19에) 감염될 수 있다"면서 감염자를 비난하지 말아 달라고 주민들에게 요청했다. 젊은 감염자가 더 많으니 괜찮다?
'고 투 트래블'을 비롯해 각종 경기 부양책이 진행 중인 가운데 코로나19가 기록적으로 번지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아직 괜찮다"는 입장이다. 30일 도쿄도(東京都)에서는 기존 최대 하루 확진자수였던 366명(23일)을 넘어서는 367명의 역대 최다 확진자가 나왔다. 전날 오사카부(大阪府)에선 처음으로 200명을 넘어 220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아이치(愛知)현과 오키나와(沖繩)현 등 전국 각지에서 최다기록 경신이 이어졌다.

일본 정부는 하루 신규 확진자가 460여명을 기록한 올해 4월 7일 도쿄 등 7개 지역에 긴급사태를 선언했고, 하루 확진자가 600명에 근접한 같은 달 16일 긴급사태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확진자 수로는 당시보다 더 심각한 상황이지만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회견에서 "젊은 세대 감염자가 많고 60세 이상 감염자는 적으며, 중증자가 적은 점 등에서 4월 긴급사태 선언 때와는 다르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답했다. "경증 환자는 그냥 집에서 요양하라" 방역을 일정 정도 포기하고 경기 부양을 선택한 일본 정부는 이 기준에 맞는 새로운 코로나19 대응지침을 마련할 계획이어서 논란도 예상된다.

29일 마이니치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당장 긴급사태 선포를 고려하지 않은 채 사태 진행 상황을 3단계로 나눠 지자체별로 대처하도록 하는 새로운 코로나19 지침(공정표)을 검토하고 있다. 오는 31일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코로나19 대책분과회에서 구체화될 예정인 새 지침은 확진자 수가 아닌 ▲중증자 수 ▲60세 이상 감염자 수 ▲코로나19 숙박시설 및 병상 현황 ▲양성률 등을 토대로 단계별 대응책을 제시한다. 이 기준대로라면 하루 1000명 이상의 확진자가 나오는 현 상황도 1단계에 해당한다. 1단계에서는 지자체별로 음식점 등에 영업시간 단축과 휴업 등을 요청하고, 고위험군인 노인 환자를 우선 입원시키도록 하고 있다. 무증상자나 젊은 경증자는 1단계에선 자택 요양을 하거나 병상 상황에 맞춰 치료를 받도록 하는 등 탄력적인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집단감염이 다발적으로 발생하면서 의료 체계에 지장이 초래되는 2단계에서야 긴급사태 발령을 검토할 수 있다. 3단계 폭발적 확산에 이르지 않도록 2단계에선 외출·행사 자제, 초중교 휴교, 생필품 판매 외 시설의 이용 제한 등을 권고했다.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30일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정부가 목표로 하는 감염대책과 경제의 양립은 구체적인 대응책이 부족한 채로는 좌절될 수밖에 없다"면서 "해외처럼 검사 체제를 정비한 후 지역과 대상을 좁힌 중점적인 대책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이영희 기자 misquick@joongang.co.k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