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증오범죄 피해 15%가 한인
- senior6040
- 2020년 10월 19일
- 1분 분량
[LA중앙일보]발행 2020/10/19

코로나19 사태 이후 미국에서 아시아계를 겨냥한 증오 범죄가 확산한 가운데 피해자의 15%가 한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안 인권단체 연합기구인 아시안퍼시픽 정책기획위원회(A3PCON·이하 위원회)는 최근 온라인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내용의 코로나 증오 범죄 현황을 공개했다고 18일 학술언론단체 에스닉미디어서비스(EMS)가 전했다. 코로나 사태 이후 미국에서 불거진 아시아계 상대의 증오 범죄 현황을 유형별로 정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위원회는 샌프란시스코주립대 아시안아메리칸연구소, 한인 단체 등과 함께 지난 3월 19일 증오 범죄 핫라인(www.StopAAPIHate.org)을 개설하고, 아시아계에 대한 폭행과 괴롭힘, 모욕, 협박 등 증오 범죄 사례를 신고받았다.
위원회에 접수된 증오 범죄는 전체 50개 주 중에서 46개 주에서 발생했고, 모두 2680건에 달했다. 출신 국가별로는 중국계 피해자가 40.8%로 가장 많았다.
특히 한인 피해자는 15.4%로 두 번째를 차지해 한국계에 대한 증오 범죄와 차별 행위가 생각 외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베트남(7.9%), 필리핀(7.3%), 일본계(6.6%) 순이었다.
증오 범죄 사례를 분석한 만주샤 컬카니 변호사는 “가해자들이 한국 등 극동아시아 출신 이민자들을 무조건 중국인으로 간주해 차별하는 경우가 많았고, 동남아와 태평양 출신 이민자는 중국계로 간주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는 증오 범죄 가해자들이 한인들의 외모만 보고 중국계로 오인해 범죄 대상으로 삼은 것으로 풀이된다.
유형별로는 증오 범죄의 70.9%가 언어폭력이었다. 의도적으로 아시안을 향해 기침하거나 침을 뱉는 사례도 6.4%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증오 범죄의 절반이 넘는 56%가 캘리포니아와 뉴욕주에서 벌어졌고, 성별로는 여성의 피해 사례가 남성보다 2.3배 많았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