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집단 면역' 스웨덴도 "지역봉쇄 검토"…가을 재확산 못 피했다

  • 작성자 사진: senior6040
    senior6040
  • 2020년 10월 20일
  • 2분 분량

[한국 중앙일보]기사입력 2020/10/19


"스웨덴, 코로나 대응 전략 조용히 수정중" 8~9월 확진자 감소, 집단 면역 효과 기대 하루 확진 다시 치솟아 '회의론' 힘 실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전략으로 '집단 면역'을 시도해 온 스웨덴이 결국 '지역 봉쇄' 쪽으로 전략 수정을 고려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다른 유럽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가을철에 접어들면서 스웨덴에서도 코로나19가 재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스웨덴에서 지난 14일(현지시간)엔 하루 확진자가 970명이나 발생했다. 9월초 하루 확진자가 100명대까지 떨어졌으나 다시 급증한 것이다.


19일(현지시간) 미국 타임지, 영국 텔레그래프 등 외신에 따르면 스웨덴 보건 당국은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한 스톡홀름?웁살라 등 일부 지역의 보건 당국과 규제 조치 도입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 조치는 이동 제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역 당국이 시민들에게 쇼핑센터?박물관?도서관?수영장?체육관?경기장?콘서트장?대중교통 등 공공장소를 피하고, 노인?고위험군과 접촉하지 않도록 지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이 포함된다고 외신은 전했다. 웁살라주의 감염병 부서 책임자인 요한 노즈드 박사는 텔레그래프에 "이 조치는 봉쇄 상황에 가깝지만, (전국 봉쇄가 아닌) 지역 봉쇄"라고 설명했다. 스웨덴 우메아대 전염병학과의 조아킴 로클로브 교수는 "스웨덴이 조용히 (코로나19 대응) 전략을 수정하고 있다"고 평했다.


스웨덴은 코로나19 확산 초기 유럽 각국의 봉쇄 정책과 다르게 느슨한 방역 정책을 폈다. 쇼핑센터?식당?술집 영업을 허용했고, 이동 제한령도 내리지 않았으며 마스크 착용도 권하지 않았다. 이른바 '집단 면역' 실험으로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았다. 집단 면역은 인구 약 60%가 항체를 갖게 되면 나머지 사람들 중 일부 확진자가 생겨도 감염 확산이 어렵다는 이론이다. 집단 면역은 일반적으로 백신 예방 접종을 통해 생긴다. 하지만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의 집단 면역 실험은 다수의 희생을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지난 6월 하루 확진자가 1000명대로 치솟고, 치명률이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훨씬 높아 '위험천만한 전략'이란 비판이 곳곳에서 나왔다. 일각에선 스웨덴의 집단 면역 효과가 뒤늦게 나타나는 게 아니냐는 기대도 있었다. 스웨덴의 하루 확진자가 지난 8월 200명대, 9월 첫 주 100명대까지 떨어지면서다. 집단 면역 전략을 이끌어 온 스웨덴의 방역 책임자인 안데르스 텡넬은 "코로나19 사태에 장기전으로 대비한 지속가능한 방역 전략이 이런 차이를 만들었다"며 자평하기도 했다.


하지만 가을로 접어들어 하루 1000명에 육박하는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집단 면역 회의론에 다시 힘이 실리고 있다. 타임지는 스웨덴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하는 점은 스웨덴 보건 당국자들이 기대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수의 사람들이 (감염 후) 자연 면역력을 갖게 된 것을 보여준다고 평했다. 결국 스웨덴 방역책임자 텡넬도 현실을 인정했다. 그는 "스웨덴 도시들의 면역 수준은 일부 사람들이 믿었던 만큼 높지 않다는 게 명확한 결론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도시에 코로나19 감염자가 많이 발생했다고 느껴져도 아직 감염되지 않은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스웨덴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10만3200명, 누적 사망자는 5918명이다. 인구 10만명당 사망자는 58.6명으로 세계에서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고 타임지는 전했다. 다만 스웨덴 보건 당국이 일부 지역에 이동 제한 조치를 도입하더라도 위반시 벌금을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텔레그래프는 전했다. 스웨덴 보건 당국은 "이번 조치는 규제와 권고 사이에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임선영 기자 youngcan@joongang.co.kr


Comentá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