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자연재해 광풍 “미래가 두렵다”

  • 작성자 사진: senior6040
    senior6040
  • 2020년 9월 11일
  • 1분 분량

<미주한국일보>2020-09-11 (금)


▶ 기후변화 악영향 뚜렷해져 “10년 뒤 지금 그리워할 것”


ree

“10년 뒤엔 올해가 ‘좋은 시절이었다’며 그리워하게 될 것입니다.”


기후 과학자들은 올해 캘리포니아주를 덮친 가뭄과 대형 화재, 133도를 기록한 데스밸리의 이상 고온, 한국과 일본을 강타한 태풍을 뛰어넘는 자연재해가 발생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킴 콥 조지아 공대 기후학자는 “상황이 훨씬 더 나빠질 것”이라면서 “(자연재해가) 상상력에 도전하는 수준이며, 2020년의 기후학자로서 미래를 아는 것조차 두렵다”고 말했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속에서 연이은 재난을 맞이하고 있다”며 2030년대는 지금보다 상황이 더 좋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자연재해가 10~20년 전부터 예견된 것이라고 말했다.


노스캐롤라이나주 소속 기후학자인 캐시 델로는 “10년 전부터 늘 해왔던 얘기”라면서도 지금 벌어지는 자연재해의 규모는 당시에 가늠하기 어려운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기후학자인 조너선 오버펙 미시간대 환경학 학장도 “기후 변화로 대기가 달궈지면서 30년 내로 지금의 2배의 달하는 자연재해가 닥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을 했다.


전직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 수석 과학자인 왈리드 압달라티 콜로라도대 환경과학과 학장은 “화석연료의 연소가 기후변화나 재해를 악화시킨다는 건 자명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페테리 탈라스 세계기상기구(WMO) 총장은 “더 많은 열을 대기에 가두었기 때문에 이러한 기상 현상에 더 많은 에너지를 공급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열대성 폭풍의 세력을 키울 뿐만 아니라 일부 지역에는 가뭄으로, 또 다른 지역에는 폭우로 나타나게 된다고 탈라스 총장은 설명했다.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