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이 아침에] 내일의 나무를 심는다

  • 작성자 사진: senior6040
    senior6040
  • 2020년 12월 31일
  • 2분 분량

[LA중앙일보] 발행 2020/12/31이희숙 / 수필가·어린이학교 운영


30대 젊음의 열정으로 황무지에서 이루어낸 교육 현장의 결정체인, 땀과 정성이 깃든 어린이학교를 떠나게 된다는 사실에 마음이 착잡하다.


눈길이 닿는 곳에 같이 성장하며 곁을 지켜 역사를 써온 아보카도 나무가 있다. 그 나무는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조카가 씨로 싹을 틔워 화분에서 키운 어린 나무를 우리 집에 가져왔다. 더 넓은 땅에 옮겨 크게 성장시키기 위해서다.


식목일을 정했다. 새 터전에 아보카도 묘목을 옮겨 심기로 했다. 나는 은퇴라는 저무는 계절에 있다. 흰 눈 덮인 산이 멀리 보인다. 다져진 관록을 밑거름 삼아 제2 인생의 발돋움으로 어린 나무를 심는다. 조카와 손주들이 연장을 들고 모였다. 삽으로 땅을 파 구덩이를 만들고, 연약한 뿌리에 물을 주고, 거름을 부어 흙을 북돋운다. 화분에서 넓은 대지로 옮겨 심는다. 행여나 뿌리를 건드리지 않도록 조심스레 정성을 다해 새 터전을 잡을 수 있도록 돕는 작업을 한다. 지난날 우리가 겪었던 고국을 떠난 이민 생활의 정착과도 같은 상황이라 생각된다.


1993년 3월, 애써 찾았던 애너하임 교정 구석에서 어린 아보카도 나무를 처음 만났다. 교정에는 늙은 호두나무가 연륜을 자랑하고 있었고, 잔디밭엔 나지막한 라임 나무가 귀여운 손짓을 했다. 올리브 열매가 까맣게 익어 모래밭을 덮고, 부겐베리아 진분홍 꽃 그늘이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그 틈에서 어린 아보카도 나무가 낮은 어깨를 겨누고 있었다. 옛 주인이 많은 나무를 정성껏 가꿔 아름다운 교정이 운치가 있었다.



어린이 인원수가 증가함에 따라 놀이터가 더 필요하게 됐다. 아쉽지만 관리하기도 힘들어 모든 나무를 정리하고 한 그루만 남겼다. 바로 구석의 어린 아보카도 나무였다. 홀로 남아 외로움을 타지 않고 아이들의 웃음소리를 먹으며 쑥쑥 성장했다. 날이 갈수록 어린이의 키를 훌쩍 넘어 건물 높이와 견주었다. 연하고 가늘던 허리가 거칠고 굵은 나이테로 연륜을 쌓아갔다. 그 그늘 밑에 놓인 나무 의자에 아이들이 앉아 이야기꽃을 피웠다. 뜨거운 햇살을 막아주고 바람을 일으켜 쉼과 대화의 공간을 제공해 주었다.


흰 꽃이 만개하면 향기로운 내음이 교정에 꽉 찼고, 생명을 잉태해 열매를 맺었다. 가을이 되면 담백 고소한 맛으로 선물을 안겨주었다. 추수철엔 친지와 열매를 나누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30년 가까이 우리 곁에서 극복해야 할 난제의 고비를 넘어 변함없이 같이 해줬다. 이민 생활에서 일구어낸 성취의 기쁨을 나누었다. 인생의 동무가 되어 결실된 감사를 보여줬다.


은퇴해도 남아 있는 저만치의 길을 아직 갈 수 있다. 나는 내일을 심는다. 여전히 봄을 키우려는 여력의 몸부림일 수 있다. 영국 속담에 “1년이 행복하려면 정원사가 되고, 평생이 행복하려면 나무를 심어라”라고 했다. 묘목은 자라나 아름드리 나무로 자리 잡을 날이 오리라. 미래 어느 날에 우리는 자취를 감추더라도 나무는 여전히 그 자리에서 후손들의 성장과 활약을 지켜볼 것이다. 그들에게 이국땅에 정착한 이민 1세인 부모와 조부모들의 교육 유산과 자취에 관해 이야기할 것임을 안다. 새 역사가 뿌리를 내린 날이라고 기억될 것이다.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