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나는 되고 헬스장은 안 된다니”…거리로 나온 사장님들
- senior6040
- 2020년 12월 16일
- 1분 분량
<조선일보>김은경 기자 입력 2020.12.16

대한피트니스경영자협회와 헬스클럽관장연합회 관계자들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코로나19로 인한 체육시설 집합금지조치 관련 기자회견에서 생존권 보장을 촉구하며 삭발 후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시스
코로나로 인한 방역 당국의 집합금지 조치로 영업이 중단된 실내체육시설 자영업자들이 거리로 나왔다.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지난 8일부터 3주간 집합 금지 명령을 받은 실내체육시설 관계자들이 16일 “헬스클럽 운영자와 트레이너 등 근로자들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 오후 9시까지만이라도 영업을 허가해달라”고 호소했다.

대한피트니스경영자협회와 헬스클럽관장연합회 관계자들이 16일 국회 앞에서 생존권 보장을 촉구하며 삭발식을 하고 있다. /뉴시스
대한피트니스경영자협회와 헬스클럽관장협회는 이날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식당과 카페, 목욕탕 등 업종은 일부(시간대) 영업을 허용하면서 실내체육시설에만 강력한 잣대를 적용한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생존권 보장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마친 뒤 삭발식을 벌였다.
국회 앞에는 ‘삼가 체육시설의 명복을 빕니다’ ‘국가는 체육시설을 죽였다’ 등 문구가 적힌 조화(弔花)와 ‘핀셋방역 탁상행정’이라고 쓰인 팻말 등이 놓였다.

지난 8일 운영이 중단된 서울 목동의 한 당구장 모습. /뉴시스
당구장대표연합도 이날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실내체육시설 소상공인 생존권 보장 입법을 촉구했다. 단체 관계자는 “당구는 땀도 나지 않고 신체접촉도 없는 스포츠인데도 정부는 행정편의적이고 일률적인 규제로 소상공인을 벼랑으로 몰고 있다”고 했다.
이어 “사실상 영업을 못 하는 상황에서 임대료와 관리비 등 고정 비용이 계속 나가고 있다”며 “임대료 등 부담을 덜 수 있는 회생 법안을 제정해달라”고 했다.

지난 8일 서울 용산구문화체육센터 헬스장에 휴관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뉴시스
◇ 거리두기 강화 이후… 실내체육 매출 ‘반토막’
소상공인 카드 결제 정보 등을 관리하는 한국신용데이터에 따르면 이달 7~13일 전국 소상공인 사업장 평균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71%에 그쳤다. 서울 지역만 보면 62%로 더 떨어진다.
특히 스포츠·레저업이 직격탄을 맞았다. 이 기간 스포츠·레저 업종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절반 수준인 53%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카페와 술집, 한식 등 음식점업 사업장(55%)과 여행업종(58%)이 뒤를 이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