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사망률 높이는 미세먼지… 정부 “안심구역 만든다”
- senior6040
- 2020년 12월 7일
- 2분 분량
<국민일보>입력 : 2020-12-07
호흡기 질환 관련 최대 8% 상승… 환경부, 집중관리구역 36곳 지정

초미세먼지 농도가 '나쁨'인 지난해 12월 9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에 마스크를 쓴 시민 뒤로 초미세먼지 농도가 전광판에 표시돼있다. 연합뉴스
미세먼지가 65세 이상 노인의 호흡기계 질환 사망률을 최대 8.0%까지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부는 국민 건강을 고려해 노인복지시설 등 취약계층 이용시설을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하고 지원사업을 집중 추진하기로 했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새로운 통합대기환경지수 개발과 호흡기 및 심혈관계 질환 사망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65세 이상 호흡기 관련 사망은 하루 전 대기오염 농도와 깊은 연관이 있다는 점을 증명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원은 환경부 대기환경정보(에어코리아)에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각 오염물질의 농도자료를 취합해 통합대기환경지수를 산출했고 통계청 사망자료와 기상청 기상자료를 연구 기반 데이터로 썼다. 연구원은 “대기오염의 단기 노출로 인해 특히 65세 이상 호흡기계 질환의 초과사망 발생위험이 7.84%까지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며 “인구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어 기저질환과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세분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미세먼지가 노인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보고서는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서울연구원은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기준을 초과하는 초미세먼지(PM2.5) 영향으로 조기에 사망하는 65세 이상 고령자 수가 2030년 서울에서만 연간 2133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2015년에 초미세먼지로 조기 사망한 노인의 추정치(1162명)보다 83.5% 많다. 서울대 의대 연구진은 65세 이상 노년층이 미세먼지나 일산화탄소 등 대기오염에 의해 천식·뇌졸중에 걸릴 가능성이 65세 미만보다 최고 47배 더 높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에 환경부는 17개 시·도와 협력해 전국 36곳을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하고 노년층 등 미세먼지 취약계층을 위한 생활밀착형 지원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기존 미세먼지 발생 지역이나 고밀도 배출지역 등과는 다른 개념으로, 규제 중심의 관리 대책보다 지원 중심의 보조적 수단을 강화했다. 김승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을 미세먼지 안심 구역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은 주변에 사업장이나 차량과 같은 미세먼지 배출이 많으면서도 노인복지시설·어린이집·유치원·학교·병원 등 미세먼지 취약계층 이용시설이 밀집된 지역이 대상이다. 환경부는 올해 집중관리구역으로 서울 금천·영등포·동작구와 부산 금정·동래·서구 등 36곳을 지정했으며, 17개 시·도마다 최소 1곳 이상을 포함했다. 집중관리구역의 내년도 신규 사업 예산으로 30억원을 별도로 책정하고 기존 미세먼지 대책사업 예산도 가장 시급하게 사용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내년부터 고농도의 미세먼지가 취약계층 이용시설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출입구 공기차단막(에어커튼)을 설치하고 실내 환기 강화를 위한 공기정화장치를 지원한다. 또 사물인터넷에 기반한 미세먼지 측정기기, 미세먼지 신호등 설치 등 취약계층 눈높이에 맞춘 미세먼지 농도 정보 제공도 확대한다. 이와 함께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도로에 살수차·진공청소차를 투입하고 사업자·매연차량 단속을 강화한다. 친환경 보일러 교체, 소규모사업장 방지시설 개선 등 기존의 각종 미세먼지 저감사업도 다른 지역보다 먼저 추진하기로 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Comentá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