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포커스] 바이든 시대 투자 포트폴리오 이렇게 짜라
- senior6040
- 2020년 11월 26일
- 2분 분량
<조선일보>김홍수 논설위원 입력 2020.11.26
2020년 세계 증시 활황 코로나發 ‘과잉 유동성' 덕분 새해엔 美·中 새 경제 전략 실행 ESG·金 투자 주목해야

/연합뉴스 새해 출범할 미국 바이든 정부는 친환경 에너지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2.2조달러 규모의 그린 뉴딜 정책을 선보일 예정이다. 중국 견제를 위한 새 경제 동맹 결성도 본격화할 전망이다. 이에 맞서 중국은 내수 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쌍순환' 전략을 추진한다. 새해엔 이런 변수와 코로나발 과잉 유동성, 초저금리, 약달러 변수를 감안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새로 짜야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연말을 앞두고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 증시가 뜨겁다. 올해 세계 증시 활황은 ‘코로나발 유동성 랠리’라고 볼 수 있다. 올 들어 9월까지 세계 각국 정부가 코로나 대응 과정에서 뿌린 돈이 15조달러(약 1경6600조원)에 이른다. 미국과 중국 한 해 예산 합친 것의 2.5배 규모다.
10년 전 글로벌 금융 위기 때와 비교하면 풀린 돈 규모도 더 크거니와 유동성 팽창 효과가 훨씬 크다. 글로벌 금융 위기 땐 정부 자금 지원이 금융권에 집중된 반면 코로나 사태에선 우리나라 재난지원금처럼 정부가 가계와 기업, 근로자들에게 직접 돈을 뿌렸다. 우리나라에선 정부가 1~4차 추경으로 67조원을 풀고, 금융 회사를 통해 100조원대 지원금을 뿌렸다. 여기에 은행의 신용 팽창 기능이 더해지며 통화량(M2 기준)이 1년 새 300조원이나 불어났다. 이렇게 풀린 돈이 증시,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돼 자산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있다. 세계 주요국 정부는 내년에도 돈 풀기를 지속할 예정이다.
내년 글로벌 투자 지형을 좌우할 또 다른 변수는 미국 바이든 정부의 출범이다. 바이든 정부는 태양광·풍력·첨단 원전 등 친환경 에너지 산업에 2조2000억달러를 쏟아붓는 그린 뉴딜을 추진한다. 중국 견제를 위해 새 경제 블록을 만들려고 한다. 이에 맞서 중국은 내수시장을 키우는 ‘쌍순환’ 전략을 채택했다.
코로나발 과잉 유동성, 1·2위 경제 대국의 새 판 짜기 변수를 감안할 때 새해 투자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짜는 게 좋을까. 우선 1·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과 유럽 등 참전국들의 재정·통화 정책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당시 선진국들은 전쟁 비용을 조달하느라 국가 부채가 급증하자, ‘증세’와 ‘인플레이션’ 정책 조합으로 대응했다. 미국 바이든 정부가 법인세, 소득세 인상을 공언하고, 유럽 국가들이 구글·페이스북·넷플릭스 등을 겨냥한 디지털세 신설을 추진하는 것은 1·2차 대전 후 ‘증세’ 노선과 궤를 같이 한다.
최근 미 연준이 물가 관리를 느슨하게 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은 인플레이션을 용인함으로써 부채 부담을 줄이겠다는 뜻이다. 같은 맥락에서 주요국 중앙은행들은 정부 부채 상환 부담을 늘릴 금리 급등은 용인하지 않을 것이다. 초저금리가 지속된다고 보면 예금, 채권보다는 주식 투자가 유망할 것이다. 국내보다 해외 투자가 더 나을 수 있다. 삼성전자를 제외한 상장기업 영업이익률이 2017년 6.6%, 2018년 5.9%, 2019년 4.1%, 2020년 상반기 3.3% 등 하락 추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해외 주식에선 이미 버블 논란이 있고 증세 타깃이 될 공룡 IT 기술주보다는 바이드노믹스의 수혜주가 될 친환경 에너지 기업, ESG(친환경, 사회적 책임, 투명한 지배구조) 펀드, 중국 내수 진작책의 수혜 기업이 될 업종별 1등주 투자 등이 유망해 보인다.
글로벌 증시의 달러 유동성 랠리 이면에는 세계적인 약달러 현상이 도사리고 있다. 달러 대체재를 찾는 수요도 강해지고 있다. ‘디지털 금(金)’이라는 비트코인의 부활이 그런 수요를 보여준다. 하지만 실체 없는 암호 화폐보다는 실물 금이 더 안전한 대체재 아닐까. 투자수단으로서 금의 약점은 오래 갖고 있어도 이자가 안 붙는다는 점인데 실질 금리가 제로(0)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글로벌 금융 위기 때처럼 금값 폭등이 재현될 수 있는 환경이다. 하지만 미 재무부는 달러의 위상을 위협하는 금의 부상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국제 금값 상승을 막으려고 금 선물 거래 증거금 인상 등 견제구를 계속 날리고 있다. 미 재무부와 시장의 힘겨루기가 어떻게 귀결될지 흥미로운 관전 포인트 중 하나이다.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