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인구 절벽' 어쩌나...노인인구 20.6%로 '초고령사회' 진입
- senior6040
- 2020년 5월 6일
- 2분 분량
<데일리한국>전옥표 기자jop2220jop@hankooki.com승인시간승인 2020.05.06
경북, 결혼·출산 중심에서 사회적 인구 증가 위한 TF팀 구성

지난 4일 열린 경상북도 인구정책 TF 첫 회의 모습. 사진=경북도 제공
[안동(경북)=데일리한국 전옥표 기자] 경북도의 인구가 38년째 급격히 줄어들면서, 65세 이상이 전체 인구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에 이미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가 기존 저출산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둔 저출생 극복 태스크포스(TF)를 일자리와 문화복지 자녀 양육 분야까지 아우르는 인구정책TF로 개편하는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지만, '탈경북' '비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 추세를 막기에는 힘겨운 양상이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3월 국내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경북의 순유출 인구는 지난 3월 한달 동안 4717명으로, 대구·세종·경기 등 3개 시·도를 제외한 14개 광역단체 가운데 가장 많았다. 순유출인구는 전입 인구에서 전출 인구를 뺀 값이다.
출산율 감소도 심각하다. 2012년 2만4635명이던 경북지역 신생아 수는 지난해 1만4490명으로 7년간 무려 41.2%(1만145명)나 줄었다.
이런 추세 탓에 1982년 317만6591명으로 정점을 찍은 경북도의 인구는 지난해 말 기준 266만5836명으로, 37년 사이에 51만여명이나 줄었다. 포항시 인구(4월말 현재 50만5209명)가 빠져나간 셈이다.
고령화 추세 또한 전국 평균치를 훨씬 웃돌고 있다. 지난 2014년 노인(65세 이상) 인구 14.2%를 기록한 우리나라는 2026년께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경북도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20.6%로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전체적으로 경북도 인구는 아동 수보다 노인, 전입자 수보다 전출자,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더 많이 늘어나는 트리플 악재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같은 인구 급감 추세를 완화시키기 위해 경북도는 결혼·출산 장려 등 자연 증가뿐 아니라 일자리 창출, 문화·복지 향유, 자녀 양육·평생학습 기회 제공 등을 통한 사회적 인구 증가를 위해 인구정책 TF를 구성하는 등 비상 체제에 들어갔다.
TF(단장 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지난 4일 첫 회의를 열어 기업 유치와 청년관광기업 육성 등 일자리 창출 확대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지난 2월 수립된 '2020년도 저출생 극복 시행계획'에 반영된 75개 사업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
강성조 부지사는 "젊은 세대가 결혼과 출산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일자리와 정주여건 개선이 시급하다"며 "수도권으로 가지 않아도 일자리가 있고 아이 키우기 좋으며 여가 생활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경북 만들기에 주력하겠다"고 다짐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