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갑자기 세상만사 귀찮은 노인, ‘이것’ 의심해봐야

  • 작성자 사진: senior6040
    senior6040
  • 2020년 7월 16일
  • 1분 분량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김명주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2020.07.15


뇌소형혈관질환을 앓는 사람 중 무관심한 사람이 치매 발병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뇌소형혈관질환을 앓는 중 모든 것에 '무관심'해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사람은 이후 치매 발병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뇌소형혈관질환은 뇌 조직의 일부인 '백질(white matter)'에 꼬불꼬불하게 퍼져있는 소혈관들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노인 3명 중 1명이 앓을 정도로 발병률이 높고, 혈관성치매와 뇌졸중을 유발하는 흔한 원인이다.

이번 연구는 뇌소형혈관질환을 앓는 사람의 무관심 상태와 치매의 관계를 최초로 조사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영국 킹스칼리지런던대학·네덜란드 래드버드대학·영국 옥스포드대학의 연구팀은 뇌소형혈관질환을 앓는 약 450명의 무관심 정도를 측정한 연구를 바탕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약 450명 중 영국에선 20%, 네덜란드에선 11%가 치매에 걸렸는데, 공통으로 무관심 정도가 높고, 시간이 지날수록 무관심한 정도가 증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뇌혈관질환이 뇌기능을 손상시키면서 치매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때 무관심과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영국 케임브리지 임상신경과학부의 조나단 타이 박사는 “뇌소형혈관질환을 앓는 사람의 무관심한 정도를 지속해서 관찰하면 치매를 예방하거나 조기 발견할 수 있다”며 “뇌질환을 앓는 사람이 갑자기 무관심한 증상을 보인다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최근 ‘신경외과 정신의학저널(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에 게재됐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15/2020071502729.html

Comenta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