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文 "방역은 신앙 아닌 과학" 교회 "영업장 취급 말라"

  • 작성자 사진: senior6040
    senior6040
  • 2020년 8월 27일
  • 2분 분량

조선일보 김한수 종교전문기자 안준용 기자 입력 2020.08.28


[코로나 재확산] 文대통령·개신교계, 팽팽한 신경전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한국 교회 지도자 초청 간담회'에 한국교회총연합(한교총) 김태영·류정호·문수석 공동대표회장,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이홍정 총무 등 16명을 초청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교계에 코로나 방역에 관한 서운함을 직설적으로 표현했지만, 교계는 오히려 예배 필요성을 강조했다.


ree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한국교회총연합회 김태영, 류정호, 문수석 공동대표회장을 비롯한 교계 지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특정 교회에서 적반하장으로 음모설을 주장하면서 큰소리를 치고, 여전히 정부 방역 조치를 거부하고 있다"고 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교회 지도자들에게 "8월부터 시작된 코로나 재확산의 절반이 교회에서 일어났다"고 했다. 이어 "대면 예배를 고수하는 일부 교회의 심정을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예배나 기도가 마음의 평화를 줄 수는 있겠지만 바이러스로부터 지켜주지는 못한다"고 했다. 일부 교회를 거론하면서 '적반하장' '몰상식'이란 표현까지 써가며 작심 비판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 확진자 상당수가 교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집단감염에서 교회만큼 비중을 차지하는 곳이 없다"고도 했다. 또 "예배 등은 불가피한 경우엔 규제할 수 있도록 감염병예방법상 제도화돼 있는 상황은 교회 지도자들이 인정해야 한다"고 했다.


ree

/조선일보


하지만 김태영 한교총 공동대표회장은 대면 예배와 관련, "전체 교회를 막는 현재의 방식은 오래가지 못한다"며 "정부도 부담이 될 것이고, 교회도 결코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정부가 모든 교회의 대면 예배를 일률적으로 막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한 것이다. 또 "대통령과 언론이 기독교의 특수성을 이해해 주셨으면 한다"며 "연합회나 총회에서 지시한다고 해서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단체가 아니다"라고도 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24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어떤 종교적 자유도, 집회의 자유도, 표현의 자유도 국민에게 엄청난 피해를 입히면서까지 주장할 순 없을 것"이라며 "공권력의 엄정함을 분명하게 세우겠다"고 했었다. 김 회장은 이와 관련해서도 "종교의 자유를 너무 쉽게 공권력으로 제한할 수 있고, 중단을 명령할 수 있다는 뜻으로 들려서 크게 놀랐다"고 했다. 김 회장은 이날 정부·교회 간 '협력 기구'를 제안하며 방역을 잘하는 교회는 차별해 '방역 인증' 마크를 주는 제도 등을 제안했지만, 문 대통령은 "현실적으로는 참으로 힘든 일"이라며 사실상 거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코로나 '가짜 뉴스'와 관련해선 "대통령을 모욕하는 정도는 표현의 범주로 허용해도 된다"며 "대통령을 욕해서 기분이 풀리면 그것도 좋은 일"이라고 했다. 이때 참석자들이 웃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문 대통령은 "방역을 방해해서 다수 국민에게 피해를 입히는 가짜 뉴스는 허용할 수 없다"며 "일부 교회가 가짜 뉴스의 진원이라는 말도 있으니 그 점은 우리가 함께 노력해 나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코로나 상황을 감안해 오찬 대신 다과회 형식으로 1시간 50분 동안 진행됐다. 문 대통령과 김 회장이 인사말로 공방을 벌이는 모양새로 시작했지만, 전체 분위기는 차분하게 진행됐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별도 서면 브리핑에서 "충돌하는 분위기가 전혀 아니었다"고 했다. 개신교 연합기관의 한 관계자도 "양측 인사말은 그동안 서로에게 맺혔던 점들을 솔직하게 털어놓은 것이고, 이후 간담회는 의견을 교환하는 분위기였다"고 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소강석 새에덴교회 목사는 페이스북에 "좀 더 따뜻한 언어로 교회를 아울렀으면 좋겠다고 (문 대통령에게) 이야기했다"고 썼다.

출처 :

コメント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