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IQ 8 떨어지고 뇌는 10년 늙는다, 무시무시한 코로나 후유증

  • 작성자 사진: senior6040
    senior6040
  • 2020년 10월 27일
  • 1분 분량

[한국 중앙일보]기사입력 2020/10/26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완치 후 '뇌 흐림'(brain fog) 현상으로 인지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구체적으로 지능지수(IQ)가 최대 8.5 하락하고 뇌가 최대 10년 노화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뇌 흐림'은 뇌에 안개가 낀 것처럼 집중력·사고력·표현력 등이 떨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영국 더타임스는 26일(현지시간) 런던 임페리얼대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인용해 "코로나19 완치자 8만4285명을 상대로 지능검사를 한 결과, 비감염자들보다 낮은 인지 능력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 24일 전문가 검토 전에 미리 공개하는 사이트인 ‘MedRxiv’에 실렸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9개의 과제를 수행하도록 했다. 결과가 왜곡되는 것을 막기 위해 참가자들에겐 실험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 그 결과 코로나19 증상이 심했던 피실험자일수록 후유증이 컸다. 코로나19가 완치된 지 수개월 지난 사람에게서도 '뇌 흐림' 증상이 나타났다. 코로나19 완치자들은 비감염자보다 언어구사력·논리력·공간지각능력·집중력·감정조절능력 등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집중치료실에서 치료를 받았거나 인공호흡기를 사용했던 환자의 경우, IQ가 8.5 떨어지거나 뇌의 나이가 최대 10년 늙기도 했다. 통원치료를 받았던 코로나19 완치자들은 IQ가 4가량 하락했고, 뇌가 5년 정도 늙었다.


연구를 진행한 애덤 햄프셔 교수는 "일상적인 업무 수행에 영향을 받는다고 느낄 정도로 큰 차이가 있었다"며 "코로나19에서 회복한 지 수개월이 지났음에도 예전처럼 집중하기 어려워하는 사람들도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후유증은 코로나19 중증도에 따라 달랐다"며 "입원 치료를 받지 않은 완치자들 사이에서도 인지능력 감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에선 '뇌 흐림'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하는지, 다른 질병으로 집중치료실에 입원했거나 인공호흡기를 사용했더라도 인지능력에 영향을 받는지 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고석현 기자 ko.sukhyun@joongang.co.kr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