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세 이후 사별한 노년 치매 확률 더 높아
- senior6040
- 2020년 11월 24일
- 1분 분량
<조선일보>최종석 기자 입력 2020.11.24
자녀와 같이 사는 고령자는 사별 영향 적어

서울 은평구에 있는 서울서북병원 치매 환자 병동. 한 노인 치매환자가 복도를 걷고 있다.
71세 이후 사별한 고령자가 사별을 경험하지 않은 고령자보다 치매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저소득층은 이런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환웅·고창수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4일 발간된 ‘재정포럼 11월호’에 이러한 내용의 ‘노년층의 사별 경험이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치매 정책에의 함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중·고령자 1만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이 부연구위원은 “분석 결과 71세 이후에 배우자와 사별한 고령자는 같은 나이의 사별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인지능력 저하 경향을 보였다”며 “특히 저소득층(상대적 빈곤층)의 경우 인지능력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측됐다”고 말했다.
저소득층의 경우 사별과 같은 외부적 충격을 정신적, 물질적으로 관리하는데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고 이 부연구위원은 밝혔다.
이 부연구위원은 “고소득층은 사별 후 일을 하거나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가 많아 인지능력이 덜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자녀와 함께 사는 고령자는 사별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연구위원은 “사별 전부터 자녀와 함께 산 고령자는 사별로 인해 인지능력이 떨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자녀와 정서적 교감이 사별의 충격을 완화해준다는 것이다.
사별의 영향을 받는 것은 71세 이후였다.
이 부연구위원은 “71세 이전에 사별한 중·고령자는 상대적 빈곤층에 속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인지능력에 부정적인 효과가 관측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사별한 사람이 그러지 않은 사람보다 장기적으로 치매 증상을 보일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며 “특히 저소득 고령층은 사별의 부정적인 영향이 심각하기 때문에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기초연금 같은 물질적 지원 뿐만 아니라 정서적, 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