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명 숨진 뒤에야 긴급대응팀 꾸린 정부···요양병원의 비명
- senior6040
- 2020년 12월 30일
- 1분 분량
[한국 중앙일보]기사입력 2020/12/29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요양병원·요양원시설 내 추가 확산을 차단하려 중앙사고수습본부 내 긴급현장대응팀을 운용한다고 30일 밝혔다. 하지만 이미 요양병원에서 숨진 환자가 50명이 넘은 뒤라 실기(失機)라는 지적이 나온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30일 정례 브리핑에서 “오늘부터 중수본 안에 긴급현장대응팀 3개 팀을 구성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대응팀은 요양병원·요양원에서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하면, 중앙방역대책본부 현장대응팀과 합동으로 현장에 출동한다. 이후 환자들을 어떻게 전원시킬지, 집단감염지에 인력을 얼마만큼 투입시킬지등에 관해 결정하는 역할을 맡는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고령자가 많고 감염에 취약한 요양병원 등은 초기에 빠른 개입과 조치가 필요하다”며 “중앙정부 차원에서 개입해 지방자치단체와 해당 병원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의료계 안팎에서는 ‘때늦은 조치’라는 지적이 나온다. 코로나19 첫 사망자가 나온 2월 20일부터 현재까지 요양병원에서 사망한 환자는 53명에 달한다. 요양병원은 코로나19 중환자 치료를 위한 음압병상과 인공호흡기, 에크모(체외막산소공급기)와 같은 시설·물자를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 전문적인 중환자 치료 의료진, 렘데시비르와 같은 중증환자용 치료제 등도 마찬가지다. 그런데도 정부는 ‘의료적 처치가 제공된다’며 병상대기 중 사망자 통계에서 요양병원 내 환자를 제외하기도 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늦었지만 이제라도 다행”이라면서 “한시라도 빨리 요양병원내 중증환자에 대한 치료가 적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집단감염이 터진 서울 구로 미소들노인전문병원의 경우 코로나19 환자 143명(전체 감염자 180명)을 전원조치한 상태다. 나머지 37명 확진자는 아직 병원에 남아있다.
세종=김민욱 기자 kim.minwook@joongang.co.kr
Comments